-
[경제용어 공부 36] 변동금리경제용어공부 2024. 4. 11. 11:47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36일 차!
오늘의 경제용어는 [변동금리] 다.
변동금리. 변동되는 금리 아닐까?
상황에 따라 변하는 금리!
변동금리 :
적용되는 이자율이 가입기간 중에 계속 변하는 것을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고정금리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일반적으로 금리는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로 나눌 수 있다.
- 고정금리는 상품에 가입한 기간 동안 시중금리가 아무리 큰 폭으로 변하더라도 이자율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정기예금, 정기적금과 같은 예금상품은 대부분 고정금리이며, 채권, CP(기업어음), CD(양도성예금증서), 개발신탁 등도 고정금리를 준다.
- 이에 반해 변동금리는 적용되는 이자율이 가입기간 중에 계속 변하는 것을 말한다.
- 변동금리는 대출초기금리가 고정금리보다 1% 이상 낮지만, 대출 후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경우에는 고정금리보다 불리하다.
- 또한 금리가 불확정적이므로 안정적인 생활설계에는 어려움이 있다.
- 따라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중 어느 상품에 투자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향후 금리 예측이라고 할 수 있다.
변동금리는 적용되는 이자율이 가입기간 중에 계속 변하는 것을 말한다.
변동금리는 대출초기금리가 고정금리보다 1% 이상 낮지만,
대출 후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할 경우에는 고정금리보다 불리하다.
향후 금리 예측을 통해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오늘도 공부 완료!♡
'경제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공부 38] 본원통화 (0) 2024.04.13 [경제용어 공부 37] 보호무역주의 (0) 2024.04.12 [경제용어 공부 35] 베블런 효과 (0) 2024.04.10 [경제용어 공부 34] 뱅크런 (0) 2024.04.09 [경제용어 공부 33] 뮤추얼펀드 (2) 2024.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