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용어 공부 40] 부채담보부증권 (CDO)경제용어공부 2024. 4. 15. 20:52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40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부채담보부증권] 이다.
생전 처음 들어보는 단어니까
빨리 알아보자!^^
부채담보부증권 (CDO) :
회사채나 금융회사의 대출채권 등을 한데 묶어 유동화시킨 신용파생상품
[네이버 지식백과] 부채담보부증권(CDO) (매일경제, 매경닷컴)- 부채담보부증권은 회사채나 금융회사 대출채권 등을 한데 묶어 유동화시킨 신용파생상품이다.
- 회사채나 대출채권 등 기업 채무를 기초자산으로 해 유동화증권을 발행하는 금융 기법의 한 종류다.
- 여러 종류의 채무를 모아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채권을 발행하셔 투자수익을 창출한다.
· 수익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것(Arbitrage CDO)과
신용 위험을 투자자에게 전가하기 위해 발행하는 것(Balance Sheet CDO)으로도 구분된다.
·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경우에는 회사채담보부증권(CBO),
대출채권인 경우에는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이라고 한다.
·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 채권 보증 업체들이 보증을 서기도 하며,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채권들을 섞어 새로운 신용등급의 CDO를 만들기도 한다.
· 신용등급에 따라 다시 최우량 CDO, 우량 CDO, 비우량 CDO 등으로 구분된다.
· 그러나 어떤 채권이 담보로 편입돼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는 데다
담보로 사용된 회사채나 대출채권이 제때 상환되지 않을 경우에
최우량 CDO라 하더라도 투자자는 큰 손해를 볼 수 있다.
부채담보부증권 (CDO)은
회사채나 금융회사의 대출채권 등을 한데 묶어 유동화시킨 신용파생상품이다.
오늘도 공부 완료!♡
'경제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공부 42] 분수효과 (0) 2024.04.17 [경제용어 공부 41] 부채비율 (0) 2024.04.16 [경제용어 공부 39] 부가가치 (0) 2024.04.14 [경제용어 공부 38] 본원통화 (0) 2024.04.13 [경제용어 공부 37] 보호무역주의 (0) 2024.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