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용어 공부 44] 상장지수펀드 ETF경제용어공부 2024. 4. 19. 21:37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44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 용어는 [상장지수펀드] 다.
상장지수펀드 :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하고, 특정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펀드
[네이버 지식백과] 상장지수펀드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상장지수펀드는 특정 주가지수와 연동되는 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index fund)'로,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된다.
- 주가지수 등락율과 같거나 비슷하게 수익률이 결정되도록 주식을 적절히 편입하여 만든 펀드를 인덱스 펀드라 하는데, 이 펀드를 기초로 발행하는 수익증권이나 뮤추얼펀드 주식을 바로 ETF 증권이라 하며, 투자자들은 거래소나 코스닥시장에 상장되는 이 증권을 사고팔게 된다.
- KOSPI200이나 특정 자산을 추종하도록 설계되어 해당 주가지수에 편입된 주식의 바스켓(10개 이상의 주식 조합)과 동일하게 펀드를 구성하고, 이에 따라 발행된 주식이나 수익증권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해 일반 개인들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개별 주식처럼 매매가 편리하고 인덱스펀드처럼 거래비용이 낮으며 펀드에 비해 투자 정보를 파악하기 쉽다.
- 지수묶음 1주당 가격은 1만원이고 매매 최소단위는 10주이기 때문에 10만원 이상이면 언제든 펀드투자가 가능하다.
- 일반 펀드의 경우 가입이나 환매(펀드자금 인출) 때 다음날 기준가로 가격이 결정되는데 반해 상장지수펀드는 실시간 가격으로 매매가격이 결정된다는 점도 특징이다.
- 최초의 상장지수펀드는 S&P500지수 펀드로 1993년 1월 미국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10월 14일부터 상장지수펀드의 매매가 시작됐다.
- 국내 ETF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해 순자산규모로 2019년 40조 5,625억원, 2020년 47조3,382억원 그리고 2021년 58조1,293억원을 기록했다.
- 초창기에는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대부분이었지만 진화를 거듭해 국내 주식 · 해외 지수 · 채권 · 파생상품 · 원자재 · 부동산 · 외화 등을 활용한 상품으로 영역이 넓어졌다.
- ETF는 ETF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에서 브랜드를 만든다.
- 삼성자산운용의 ETF브랜드인 ‘KODEX’, 미래에셋자산운용의 ETF브랜드인 ‘TIGER’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 반면, ETN은 ETN발행 증권회사의 이름이 맨 앞에 위치한다. 삼성증권이 발행한 ETN은 ‘삼성’, 신한금융투자가 발행한 ETN에는 ‘신한’이 ETN이름의 맨 앞에 표기된다(단, NH투자증권은 ‘QV’, 한국투자증권은 ‘TRUE’). 그래서 투자자들은 이름 맨 앞만 보고도 ETF인지 ETN인 지 구분할 수 있다.
- ETF는 수십개에 달하는 종목을 편입하고 있어서 그 자체로 포트폴리오 투자 효과가 있다.
- 표준화된 상품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주식을 거래할 때보다 거래비용이 훨씬 적게 든다.
- 상품구성이 다양해 투자자들의 선택 범위가 넓다는 것도 ETF의 장점으로 꼽힌다.
-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단기자금·유동자금·단기채권 ETF처럼 가격이 조금씩 올라가는 채권형 ETF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런 상품은 채권 이자를 재투자하는데 주가가 느리지만 꾸준히 우상향한다.
- 적극적인 투자자에겐 주가지수, 상품지수 등을 활용한 ETF가 알맞다.
- 파생상품을 활용한 레버리지 ETF와 같은 고위험·고수익 상품도 있다.
- 기간에 따라 투자 방법을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 장기 투자자라면 매월 조금씩 적립식으로 ETF를 사들이면 된다. 투자 시기를 분산, 투자 위험을 낮추는 셈이다.
- 주식시장에 대한 방향성이 확실한 경우엔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기초지수의 일일 변동률을 역방향으로 쫓는 상품)를 활용할 수 있다. 상승장에서 레버리지 상품을 들고 있다가 하락장이 시작되면 인버스 상품으로 갈아타는 식이다. 최근엔 해외 주가지수, 원자재 가격 등과 연계한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도 등장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상장지수펀드 [Exchange-traded fund] (한경 경제용어사전)
상장지수펀드는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하고,특정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펀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상장지수펀드로는
KODEX 200 (삼성자산운용의 코스피 200지수 추종 ETF)
TIGER 200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코스피 200지수 추종 ETF) 가 있다.
오늘도 공부 완료♡
'경제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공부 46] 선물거래 (1) 2024.04.22 [경제용어 공부 45] 서킷브레이커 (0) 2024.04.21 [경제용어 공부 43] 빅맥지수 (0) 2024.04.18 [경제용어 공부 42] 분수효과 (0) 2024.04.17 [경제용어 공부 41] 부채비율 (0) 2024.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