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제용어 공부 74] 정크본드
    경제용어공부 2024. 5. 29. 17:45

     

    지금부터 부자되기 프로젝트 74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정크본드] 다.

     

     

    정크본드 :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고위험·고수익 채권.
    [네이버 지식백과] 정크본드 [junk bond]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정크본드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신용등급이 아주 낮아 회사채 발행이 불가능한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고수익채권’ 또는 ‘열등채’라고도 부른다. 
    • 신용도가 낮은 회사가 발행한 채권으로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불이행 위험이 큰 만큼 이자가 높기 때문에 중요한 투자 대상이 된다.

     

    • 1970년대 미국 정크본드 시장의 대부로 불렸던 마이클 밀켄이 하위등급 채권을 정크라고 부른 데서 유래되었으며, 당시에는 신용도가 높은 우량기업이 발행한 채권 중 발행기업의 경영이 악화되어 가치가 떨어진 채권을 가리켰으나, 최근에는 성장성은 있으나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기업이 발행한 채권이나 M&A(merger and acquisition:기업인수·합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 채권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 미국의 세계적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의 신용등급이 Ba 1, S&P(Standard & Poor's)의 신용등급이 BB 이하인 기업이 발행한 채권이 정크본드로 분류된다.
    • 이 시장은 자금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에 자금조달의 길을 열어주었으나 반면 기업의 부채부담을 가중시킨다.
    • 대량 발행한 후 경기가 좋아지면 상관없지만 경기가 나빠지면 도산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이다.

     

     

    정크본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고위험·고수익 채권이다.

     

     

    오늘도 공부 완료♡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