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용어 공부 19] 낙수효과경제용어공부 2024. 3. 22. 22:30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19일 차♡
오늘의 경제용어는 [낙수효과] 다.
낙수효과. 떨어지는 물?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다는 속담이 있으니까
작은 돈이 모여서 큰 사건이 일어난다는 뜻 아닐까?
일종의 나비효과 같은 걸까?
궁금한 마음으로 공부를 시작해 본다!
낙수효과 [trickle-down effect]
감세정책처럼 고소득층이나 대기업에 혜택이 가는 경제정책을 펴면
소비와 투자가 확대돼 경기가 활성화되고
그 혜택이 저소득층과 중소기업에도 돌아간다는 이론.
[네이버 지식백과] 낙수효과 [Trickle-Down Effect] (매일경제, 매경닷컴)- 경제 성장의 혜택이 우선적으로 부유한 계층에 돌아간 뒤, 중산층 및 빈곤층으로 '떨어진다'는 이론이다.
- 정부가 감세정책이나 투자 증대를 통해 대기업과 부유층의 부를 먼저 늘려주면 경기가 활성화되어 결국 중소기업과 저소득층까지 혜택이 돌아간다는 것이다. 결국 국가의 경제발전과 국민복지가 향상된다는 주장이다.
- trickle-down은 "흘러내린 물이 바닥을 적신다"는 뜻으로 trickle-down effect는 적하효과, 하방침투효과라고도 한다.
- 1989년부터 1992년까지 미국 부시 대통령은 낙수이론에 근거한 경제정책을 채택했다.
- 성장우선의 낙수효과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부족해, 낙수효과 무용론이 주장되기도 한다.
- 1993년 미국 빌 클린턴 행정부는 낙수이론이 허구라고 결론 내리고 폐지했다.
- IMF도 2015년 5월 낙수효과 이론은 완전히 틀린 이론이라며 낙수이론을 폐기했다.
- 전 세계 150여 개국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상위 20%의 소득이 1% 상승하면 이후 5년의 경제성장률은 0.08% 하락했고, 하위 20%의 소득이 1% 상승하면 이후 5년의 경제성장률은 0.38% 증가했다는 결론을 얻었기 때문이다.
- [네이버 지식백과] 낙수효과 [trickle-down effect] (한경 경제용어사전)
낙수효과와 반대개념인 분수효과도 있다.
분수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분수효과 [Fountain effect]
낙수효과와 대비되는 용어로,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분수처럼 아래에서 위로 뿜어져 나오게 한다는 것이다.
분수효과는 복지정책 강화를 통한 저소득층의 소비 증대를 경제 성장의 발판으로 삼는다는 취지다.
부유층에 대한 세금으로 복지재원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성장보다 분배를 우선시하는 경제철학에 뿌리를 둔다.
[네이버 지식백과] 낙수 효과 [Trickle-down effect, 落水效果] (상식으로 보는 세상의 법칙 : 경제 편, 이한영)낙수효과는 감세정책처럼 부유층이나 대기업에 혜택이 가는 정책을 펼치면
결국 저소득층과 중소기업에도 혜택이 돌아가고 경제가 성장한다는 이론이다.
19일 차 공부 완료♡♥
'경제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공부 21] 대외의존도 (1) 2024.03.24 [경제용어 공부 20] 단기금융시장 (1) 2024.03.23 [경제용어 공부 18] 기회비용 (0) 2024.03.21 [경제용어 공부 17] 기축통화 (0) 2024.03.20 [경제용어 공부 16] 기준금리 (0) 202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