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용어 공부 21] 대외의존도경제용어공부 2024. 3. 24. 22:46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대외의존도] 다.
대외의존도.
기업이나 국가가 외부에 의존하는 척도 아닐까 짐작해보면서
오늘의 공부를 시작한다^^
대외의존도 :
특정 국가의 경제가 해외 시장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국내총생산(GDP)이나 국민총소득(GNI)을 산출하는데 해외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외의존도 (매일경제, 매경닷컴)- 일반적으로 지출 측면에서 GDP를 산출할 때 해외 부분은 순수출로 표기된다.
- 따라서 수출과 수입액이 상계된 숫자가 지출 측면에서 국가 경제 규모를 산출할 때 표기돼 실제 경제에서 해외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된다.
- 대외의존도는 GDP 산출 과정의 한계를 보안하고, 실물 경제내 해외 부분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왜곡없이 보여주기 위해 순수출액이 아닌 수출과 수입액을 합산한 금액을 GDP나 GNI로 나누어 산출한다.
- (수출액 + 수입액/GDP 혹은 GNI)
- 일반적으로 한국, 독일, 스위스와 같이 수출 부문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국가들은 수출뿐만 아니라 수출을 위해 수입하는 원자재 양이 많아 대외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 반면 미국이나 중국은 상대적으로 대외의존도가 낮다.
- 아프리카 국가나 폐쇄적인 국가들도 대외의존도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다.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GDP) :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
[네이버 지식백과] GDP (통계용어 · 지표의 이해, 2015. 4.)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GNI) :
국민들이 생산활동을 통해 획득한 소득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
[네이버 지식백과] 국민총소득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대외의존도는 한 국가의 경제에 해외 시장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소득(GNI) 산출에 있어서 해외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21일 차 공부 완료♡
'경제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공부 23] 더블딥 (0) 2024.03.26 [경제용어 공부 22] 대체재 (0) 2024.03.25 [경제용어 공부 20] 단기금융시장 (1) 2024.03.23 [경제용어 공부 19] 낙수효과 (2) 2024.03.22 [경제용어 공부 18] 기회비용 (0) 2024.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