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용어 공부 30] 명목금리경제용어공부 2024. 4. 4. 20:47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30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명목금리] 다.
명목금리 :
물가가 상승할 경우 이로 인해 시중의 금리수준은 물가상승을 반영, 높게 결정되지만 금리의 실제가치는 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명목금리는 외부로 표현되는 금리이며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금리가 실질금리다.
[네이버 지식백과] 명목금리 [名目金利, nominal interest rate] (매일경제, 매경닷컴)- 물가가 떨어질 경우 시중 금리수준은 물가하락을 반영해 낮게 결정되지만 금리의 실제가치는 높아질 수 있다.
- 외부로 표현되는 금리인 명목금리(nominal interest rate)는 이처럼 돈을 빌려쓰는 측의 부담을 그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 이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쓰이는 실질금리 (real interest rate)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수치다. 대출을 받은 측이 실제로 부담하는 금리로 일종의 `체감' 금리를 나타내는 지표인 셈이다. 실질금리가 오르면 이자부담이 늘어나 수익성이 떨어지며 투자여력이 그만큼 줄어드는 요인이 된다.
명목금리는 외부로 표현되는 금리이며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금리가 실질금리다.
오늘도 공부 완료♡
'경제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공부 32] 물가지수 (1) 2024.04.07 [경제용어 공부 31] 무디스 (1) 2024.04.05 [경제용어 공부 29] 매몰비용 (1) 2024.04.03 [경제용어 공부 28] 마이크로 크레디트 (1) 2024.04.02 [경제용어 공부 27] 만기수익률 (1) 202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