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용어 공부 52] 신용경색경제용어공부 2024. 4. 29. 14:06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52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신용경색] 이다.
신용경색.
심근경색처럼 신용이 막힌다는 걸까?
공부해보자!
신용경색 :
금융기관에서 돈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현상.
[네이버 지식백과] 신용경색 [信用梗塞, Credit Crunch] (매일경제, 매경닷컴)- 신용경색은 금융기관에서 돈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말한다.
- 신용경색 현상이 발생하면 기업들은 자금 부족으로 인해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워지고 무역업체들도 수출입 활동에 큰 제약을 받게 된다.
- 신용경색은 금융시장에 공급된 자금의 절대량이 적거나 자금의 통로가 막혀있을 때 발생한다.
- 특히 돈의 통로가 막혀 발생하는 신용경색은 치유하기가 어렵다.
- 이는 금융시장 존립근거인 ‘신용의 실종’을 뜻하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도 IMF 이후 극심한 신용경색으로 인해 상당수의 기업들이 도산한 경험이 있다.
신용경색은
금융기관에서 돈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말한다.
오늘도 공부 완료!
'경제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공부 54] 실질임금 (0) 2024.05.01 [경제용어 공부 53] 신주인수권부사채 BW (1) 2024.04.30 [경제용어 공부 51] 시뇨리지 (0) 2024.04.28 [경제용어 공부 50] 스톡옵션 (0) 2024.04.26 [경제용어 공부 49] 스왑 (0) 2024.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