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용어 공부 81] 증거금경제용어공부 2024. 6. 7. 11:12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81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증거금] 이다.
증거금 :
주식 또는 파생상품거래에서 결제를 이행하기 위한 보증금을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증거금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증거금은 주식 또는 파생상품거래에서 결제를 이행하기 위한 보증금을 말한다.
- 주식의 증거금은 현재 40%이다.
- 하지만 증거금이 자주 사용되는 거래는 파생상품에서이다.
- 파생상품(선물 · 옵션) 거래는 대부분 5%~15%내외의 증거금으로 매매를 할수 있는데 손실위험이 크므로 결제이행을 위한 담보 장치가 필요하다.
- 즉, 선물거래의 경우 계약시점과 결제시점간의 간격이 장기간이므로 가격변동이 클 수가 있다.
- 그래서 미결제약정을 갖고 있는 투자자로 하여금 선물가격이 손해가 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증거금을 납부하도록 하고 있다.
파생상품 :
외환·예금·채권·주식 등과 같은 기초자산으로부터 파생된 금융상품
대표적인 파생상품으로는 선도거래, 선물, 옵션, 스왑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파생상품 [Derivatives]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증거금은 개시증거금, 유지증거금,추가증거금 등이 있다.
- 코스피200 주가지수선물의 경우, 거래를 시작할 때 약 15%의 개시증거금을 내고 매일 일일정산을 하는데 계좌의 잔고가 유지증거금수준(10%)에 미달하면 추가로 돈을 납부해야 한다. 이를 추가증거금이라 한다.
증거금은
주식 또는 파생상품거래에서 결제를 이행하기 위한 보증금이다.
오늘도 공부 완료!^^
'경제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공부 83] 추심 (0) 2024.06.09 [경제용어 공부 82] 지주회사 (0) 2024.06.08 [경제용어 공부 80] 중앙은행 (1) 2024.06.06 [경제용어 공부 79] 주당순이익 EPS (0) 2024.06.05 [경제용어 공부 78] 조세부담률 (0) 2024.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