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제용어 공부 93] 한계비용
    경제용어공부 2024. 6. 25. 23:17

     

    지금부터 부자되기 프로젝트 93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 용어는 [한계비용] 이다.

     

     

     

     

    한계비용 :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증가분을 의미한다. 
    출처 : 경제금융용어 700선(2023), 한국은행

     

     

    • 한계비용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증가분을 의미한다. 
    • 즉 비용증가분을 생산증가분으로 나눈 값이다. 
    • 예를 들면, 생수 100병을 생산하는데 10,000원의 비용이 소요된다면 생수 1병의 평균생산비용은 100원이다. 
    • 추가로 생수 한 병을 더 생산하여 101병, 102병을 생산할 때 비용이 각각 10,080원, 10,150원이라면 생수 101병째의 한계비용은 10,080원 - 10,000원 = 80원, 102병째의 한계비용은 70원이 된다. 

     

    • 생산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 비용이 얼마나 소요되는가도(10,080원→10,150원) 중요하지만 생산을 늘림에 따라 증가하는 추가적 비용이 어떻게 변하는가를(80원→70원) 살피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 생산의 목적이 이윤을 극대화하는데 있다면 반드시 한계비용의 움직임을 살펴보아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일반적으로 생산이 증가하면서 한계비용은 점차 줄어들다가 어느 생산규모에 이르면 다시 늘어나기 시작한다.

     

     

     

    한계비용은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증가분을 말한다.

     

     

    오늘도 공부 완료!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