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용어 공부 55] 애그플레이션경제용어공부 2024. 5. 3. 23:56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55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 용어는 [애그플레이션] 이다.
애그플레이션 :
곡물가격이 상승하는 영향으로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
[네이버 지식백과] 애그플레이션 [agflation]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애그플레이션은 농업을 뜻하는 영어 '애그리컬처(agriculture)'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다.
- 곡물가격이 상승한 영향으로 일반 물가도 덩달아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 영국의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 잡지는 1845년 이후 식품값의 추이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세계 곡물가격은 오랜 기간 낮은 수준을 지속하였으나 2006년 하반기부터 급등하였고, 2007년에는 세계 식품가격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다고 분석하였다.
- 곡물가격이 상승하는 요인으로는 지구 온난화 등 기상 이변으로 인한 공급 감소, 육류 소비 증가에 따른 사료용 곡물 수요 증가, 경작지 감소, 유가 급등으로 인한 생산 및 유통 비용 증가, 곡물을 이용한 대체연료 활성화, 식량의 자원화, 투기자본의 유입 등을 꼽을 수 있다.
- 곡물가격 상승이 사회 전반의 물가 상승으로 확산되어 경제위기를 초래할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특히 곡물자급률이 낮은 나라는 그 위험성이 더욱 커진다.
애그플레이션은
곡물가격이 상승하면서 일반 물가도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오늘도 공부 완료!♡
'경제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공부 57] 양적완화정책 (0) 2024.05.05 [경제용어 공부 56] 양도성 예금증서 (1) 2024.05.04 [경제용어 공부 54] 실질임금 (0) 2024.05.01 [경제용어 공부 53] 신주인수권부사채 BW (1) 2024.04.30 [경제용어 공부 52] 신용경색 (0)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