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경제용어 공부 10일차] 공매도경제용어공부 2024. 3. 12. 21:17
금융문맹 탈출하기 프로젝트 10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공매도] 다. 공매도 :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으로, 주로 초단기 매매차익을 노리는 데 사용되는 기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공매도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향후 주가가 떨어지면 해당 주식을 싼 값에 사 결제일 안에 주식대여자(보유자)에게 돌려주는 방법으로 시세차익을 챙긴다. 공매도는 주식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도 하지만, 시장 질서를 교란시키고 불공정거래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한다. 공매도는 차입공매도와 무차입 공매도로 나뉜다. 차입 공매도는 차입이 확정된 타인의 주식,채권 등 유가증권을 빌려 매도하는 것이다. 무차입 공매도는..
-
[경제용어 공부 9일차] 공급탄력성경제용어공부 2024. 3. 11. 23:16
금융문맹 탈출하기 프로젝트 9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공급탄력성] 이다. 공급의 탄력성 :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공급의 변화율 [네이버 지식백과] 공급의 탄력성 [elasticity of supply, 供給─彈力性]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가격이 몇 % 변동할 때 그에 대한 공급량이 몇 % 변화하느냐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누어 측정 한다. 상품의 공급량은 보통 그 상품의 가격에 의존하고 있어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은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은 감소한다. 공급의 탄력성은 근본적으로 가격의 하락과 상승에 따라 공급량을 줄이고 늘릴 수 있는 생산자의 능력에 달려있다. 공급의 탄력성이 클수록 가격상승 효과는 작으며, 탄력성이 적을수록 가격상승의 효과가..
-
[경제용어 공부 8일차] 공공재경제용어공부 2024. 3. 10. 17:15
금융문맹 탈출하기 프로젝트 8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공공재] 다. 공공재 [ publicgoods, 公共財 ]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 국방·경찰·소방·공원·도로 등과 같은 재화 또는 서비스를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공공재 [public goods, 公共財]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공공재는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재화와 서비스로, 개인들이 무료로 공동 이용하는 재화와 서비스다. 공공재의 비경합성 : 한 개인이 소비해서 얻는 이익이 다른 모든 개인의 이익을 감소시키지 않는 것. 공공재의 비배제성 : 재화 소비에서 얻는 혜택에서 특정 집단을 배제하면 안 되는 것. 공공재 규모는 정치기구가 결정하며, 적정한 공공재의 크기를 정하는 것이 정치기구의 중요한 ..
-
[경제용어 공부 7일차] 골디락스 경제경제용어공부 2024. 3. 9. 22:08
금융문맹 탈출하기 프로젝트 7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골디락스 경제] 다. 골디락스 경제 : 고성장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 압력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골디락스 경제 [Goldilocks Economy] (한경 경제용어사전) 원래 골디락스는 영국 전래 동화 "골디락스와 곰 세마리"에 나오는 여자 소녀 이름이다. 금발머리 소녀 골디락스는 어느날 숲속에서 곰이 끓여 놓고 나간 '뜨거운 수프, 차가운 수프, 적당한 수프' 중 적당한 온도의 수프로 배를 채우고 기뻐한다. 골디락스 경제는 바로 이 말에서 유래돼, 뜨겁지도 않고 차갑지도 않고 건실하게 성장하고 있는 이상적 경제상황을 말한다. 골디락스 경제는 성장이 너무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은 이상적인 경제상황을 의미한다. 7일차 공부 ..
-
[경제용어 공부 6일차] 고통지수경제용어공부 2024. 3. 8. 23:29
금융문맹 탈출하기 프로젝트 6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고통지수] 다. 고통지수 : 특정한 기간 동안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수치이며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해서 수치로 나타낸 것. [네이버 지식백과] 고통지수 [misery index, 苦痛指數]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고통지수는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삶의 질을 계량화해서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인플레이션율, 실업률, 국민소득증가율 등으로 일반 국민들이 느끼는 경제적 체감도를 나타낸 것으로, 한 나라의 1년간 경제성과를 가늠하는 척도로 활용된다.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다음 소득증가율을 빼서 수치로 나타내며, 여기에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빼기도 한다. 수치가 높을수록 실업자는 늘고 ..
-
[경제용어 공부 5일차] 고정금리경제용어공부 2024. 3. 7. 21:44
금융문맹 탈출하기 프로젝트 5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고정금리] 다. 고정금리 : 일반적으로 금리는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로 나눌 수 있다. 고정금리는 상품에 가입한 기간동안 이자율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고용률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정기예금, 정기적금과 같은 예금상품은 대부분 고정금리이다. 변동금리는 적용되는 이자율이 가입기간 중에 계속 변하는 것을 말한다. 고정금리 상품은 변동금리 상품에 비해 이자율이 높을 수 있지만, 금리 상승에 따른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향후 금리상승이 예측되면 고정금리로 대출받고, 금리하락이 예측되면 변동금리로 대출받는 것이 좋다. 고정금리는 상품에 가입한 기간동안 이자율이 변하지 않는 것!! 5일차 공부 ..
-
[경제용어 공부 4일차] 고용률경제용어공부 2024. 3. 6. 20:46
금융 문맹 탈출하기 프로젝트 4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고용률] 이다. 고용률은 좀 쉽게 느껴진다. 우리 사회에서 일자리에 고용된 인구의 비율 아닐까? 고용률 :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취업인구비율이라고도 불리며, 실질적인 고용창출능력을 나타낸다. [네이버 지식백과] 고용률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생산가능인구는 만 15세~64세에 해당하는 인구로,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로 뉜다. 경제활동인구는 취업자와 실업자로 나뉜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주부나 학생, 구직단념자 등이 해당된다. 구직단념자는 취업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자기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실업률 통계에서도 빠진다고 한다. 고용률(%) = ..
-
[경제용어 공부 3일차] 경상수지경제용어공부 2024. 3. 5. 21:06
금융 문맹 탈출하기 프로젝트 3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경상수지] 다. 경상수지 : 국가 간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 자본 노동 등 생산요소의 이동에 따른 대가의 수입과 지급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국제수지'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 등으로 구분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경상수지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경상수지는 국가 간의 상품 및 서비스를 사고 판 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상품수지(무역수지) : 상품수지는 다른 나라와 각종 상품을 사고파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입과 지출의 차이를 따진 것이다. 만약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에 수출한 상품보다 수입한 상품이 더 많다면 상품수지 적자가 된다. 반대로 수출한 상품이 수입한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