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경제용어 공부 18] 기회비용경제용어공부 2024. 3. 21. 16:22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18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기회비용]이다. 기회비용 : 특정 활동을 하거나 특정한 결정을 함으로써 불가피하게 포기해야만 하는 가치나 이익을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기회비용 [機會費用, opportunity cost] (매일경제, 매경닷컴) 기회비용이라는 개념은 경제학자인 프리드리히 폰 비저가 1914년 처음으로 제시했다. 우리는 제한된 자원 안에서 생산활동이나 소비활동을 하게되므로, 한 쪽을 선택하면 다른 기회를 포기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 포기하게 되는 기회에서 기대되는 효용이나 이익을 기회비용이라고 한다. 기회비용 개념은 희소성과 선택의 사이에서 자주 거론된다. 자금이 한정된 가운데 다양한 대상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면 효용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결정하..
-
[경제용어 공부 17] 기축통화경제용어공부 2024. 3. 20. 14:34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17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기축통화] 다. 기축통화 : 국제외환시장에서 금융거래 또는 국제결제의 중심이 되는 통화로 미국 달러가 기축 통화다. [네이버 지식백과] 기축통화 [Key Currency]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기축통화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요건 기축통화 발행국은 전쟁으로 국가의 존립이 문제시 되지 않도록, 군사적으로 지도적인 입장에 있어야 한다. 기축통화 발행국은 다양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통화가치가 안정적이어야 한다. 고도로 발달한 외환시장과 금융 · 자본시장을 갖고 있어야 하며, 대외거래에 대한 규제도 없어야 한다. 기축통화의 역사 역사적으로 영국의 파운드화, 미국의 달러를 기축통화로 부른다. 19세기 중반 이..
-
[경제용어 공부 16] 기준금리경제용어공부 2024. 3. 19. 21:54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16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기준금리] 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에서 정해놓은 금리 아닐까? 공부해 보자! 기준금리 : 한국은행의 최고 결정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매달 회의를 통해서 결정하는 금리 [네이버 지식백과] 기준금리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기준금리는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다. 중앙은행이 다른 금융기관과 거래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 금리로,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금리를 말한다. 기준금리는 국내외 경제 상황 변화에 맞춰 유동적으로 조정한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오르고,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내려..
-
[경제용어 공부 15] 기업공개경제용어공부 2024. 3. 18. 17:08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15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기업공개] 다. 기업공개 : IPO(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이 최초로 외부투자자에게 주식을 공개하는 것으로 한국거래소에 공식상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출처: IR GO 기업공개는 기업이 주식을 일반 투자자에게 판매하여 공개시장에 상장하는 것으로 기업은 자금을 조달하고, 주주들은 투자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기업공개는 원활한 자금조달, 재무구조 개선, 국민의 기업참여 활성화, 국민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뤄진다. 기업은 주식가치의 공정성, 세제상의 혜택, 자금조달능력의 증가, 주주의 분산투자 촉진 등의 혜택을 얻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기업공개-IPO (시사상식사전, pmg지식엔진연구소) 기업..
-
[경제용어 공부 14] 금산분리경제용어공부 2024. 3. 17. 21:55
금융문맹 탈출하고 부자 되기 프로젝트 14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금산분리] 다. 금산분리 : 금융자본인 은행과 산업자본인 기업 간의 결합을 제한하는 것. [네이버 지식백과] 금산분리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1982년 도입된 금산분리는 금융 자본과 산업 자본을 분리하는 원칙이다. 산업자본(기업)이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자본을 소유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규정한 것이다. 기업이 금융사를 소유하면 고객의 예금으로 무분별한 투자와 사업 확장을 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시작됐다. 현재 은행법은 산업자본이 소유할 수 있는 은행 지분을 시중은행 4%, 지방은행 15%로 제한해 기업의 은행 소유를 제한한다. 하지만 기존 은행법은 외국계자본에는 10%까지 금융자본을 소유할 수 있도..
-
[경제용어 공부 13일차] 금본위제경제용어공부 2024. 3. 16. 22:53
금융문맹 탈출하기 프로젝트 13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금본위제] 다. 금본위제 : 통화의 표준 단위가 일정한 무게의 금으로 정해져 있거나 또는 일정량의 금 가치에 연계되어 있는 화폐 제도. [네이버 지식백과] 금본위제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금본위제의 초기 형태는 중앙은행이 화폐를 금화로 발행하여 시장에 유통시키는 것을 말했다. 금속화폐의 운반 불편성, 도난의 위험성을 보완하고자 금지금본위제가 나타났다. 금지금본위제는 중앙은행이 금화 대신 금화의 가치와 같은 가치의 지폐와 보조화폐를 발행하는 제도이다. 중앙은행이 발행한 지폐인 은행권을 금으로 교환하는 것을 금태환이라 하고, 이 은행권을 태환 화폐라고 한다.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며 각 국은 전비 조달을 위해 통화를 ..
-
[경제용어 공부 12일차] 국채경제용어공부 2024. 3. 14. 23:59
금융문맹 탈출하기 프로젝트 12일차. 평소에는 퇴근 후에 저녁을 먹고 나서 경제용어 공부를 하는데 오늘은 저녁에 다른 일을 하다보니 시간이 벌써 밤 11시 47분이다. 충분히 공부할 시간이 부족하다 ㅠㅠ 앞으로는 출근 전에 아침에 경제용어 공부를 해야겠다!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국채] 다. 국채 : 중앙정부가 자금조달이나 정책집행을 위해 발행하는 만기가 정해진 채무증서 [네이버 지식백과] 국채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채권은 정부나 공공기관 및 일반 기업들이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증서다. 국채는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조세와 함께 중요한 국가 재원이다. 국채는 재정경제부장관이 발행하며, 국채를 발행하고자 할 때에는 국회의 의결을 얻어야 한다. 국채는 정부가..
-
[경제용어 공부 11일차] 국가신용등급경제용어공부 2024. 3. 13. 22:20
금융문맹 탈출하기 프로젝트 11일차♡ 꾸준히 매일 하고 있는 나에게 응원을 보내며,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국가신용등급] 이다. 국가신용등급 : 국가의 채무상환능력을 평가한 지표. 국가의 신용 등급은 외환보유액, 외채구조(장단기) 등 대외 부문의 건전성과 거시경제 여건, 재정 건전성, 금융 및 기업 부문의 경쟁력, 노동시장 유연성, 안보 위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신용등급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국가신용등급은 한 국가가 국제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적용하는 신용도다. 한 나라가 채무를 이행할 능력과 의사가 얼마나 있는지를 등급으로 표시한 것으로 '해당 경제 내에서 외화 표시 채권 발행에 대해 어떤 경제주체가 받을 수 있는 최상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