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경제용어 공부 42] 분수효과경제용어공부 2024. 4. 17. 10:58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42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분수효과]다. 19일 차 [낙수효과]에서 공부했던 분수효과! https://make-wealth.tistory.com/20 다시 공부해보자^^ 분수효과 : 저소득층의 소비 증대가 생산 및 투자 활성화로 이어져 경기를 부양시키는 효과. [네이버 지식백과] 분수효과 [Fountain Effect, 噴水效果]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분수효과는 낙수효과와 반대되는 현상을 나타낸 말로, 오히려 부유층에 대한 세금은 늘리고 저소득층에 대한 복지정책 지원을 증대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낙수효과는 고소득층의 소득 증대가 투자 활성화로 이어져 저소득층에게도 그 혜택이 돌아간다는 것을 말한다.) 부유층에 대한 혜택을 늘리는 대신 저소득층에 대한..
-
[경제용어 공부 41] 부채비율경제용어공부 2024. 4. 16. 11:28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41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부채비율]이다. 부채비율 :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산 중 부채가 얼마 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 기업의 재무구조 중 타인자본의존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경영지표다. [네이버 지식백과] 부채비율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부채비율은 부채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해 산출한다. 부채비율 = [타인자본(부채총계)÷자기자본(자본총계)] ×100(%) 상환해야 할 타인자본(부채총계)에 대해 자기자본이 어느정도 준비돼 있는가를 나타내는 부채비율은 기업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부채와 자본의 구성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재무구조' 또는 '안전성비율' 이라고도 한다. 예컨대 어느 기업의 부채비율이 20..
-
[경제용어 공부 40] 부채담보부증권 (CDO)경제용어공부 2024. 4. 15. 20:52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40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부채담보부증권] 이다. 생전 처음 들어보는 단어니까 빨리 알아보자!^^ 부채담보부증권 (CDO) : 회사채나 금융회사의 대출채권 등을 한데 묶어 유동화시킨 신용파생상품 [네이버 지식백과] 부채담보부증권(CDO) (매일경제, 매경닷컴) 부채담보부증권은 회사채나 금융회사 대출채권 등을 한데 묶어 유동화시킨 신용파생상품이다. 회사채나 대출채권 등 기업 채무를 기초자산으로 해 유동화증권을 발행하는 금융 기법의 한 종류다. 여러 종류의 채무를 모아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채권을 발행하셔 투자수익을 창출한다. · 수익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것(Arbitrage CDO)과 신용 위험을 투자자에게 전가하기 위해 발행하는 것(Balance Sh..
-
[경제용어 공부 39] 부가가치경제용어공부 2024. 4. 14. 22:25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39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부가가치] 다. 부가가치. 부가가치세에서 들어본 것 같은데 뜻을 알아보자! 부가가치 : 개개의 기업 또는 산업이 생산과정에서 새로이 부가한 가치 [네이버 지식백과] 부가가치 [附加價値, value added] (매일경제, 매경닷컴) 부가가치는 노동·토지·자본·기업활동 등 생산과정에 투입된 모든 요소가 창출한 가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임금·지대·이자·이윤의 형태로 분배된다. 지대 : 토지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수익 또는 토지의 사용에 대한 임대료 부가가치는 두가지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총산출에서 중간소비와 자본재의 감가상각을 공제하는 방식 생산에 참여한 각 생산요소에 부가가치가 분배된다는 점을 토대로 하여 각종 요소소득을 합계하..
-
[경제용어 공부 38] 본원통화경제용어공부 2024. 4. 13. 23:14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38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본원통화] 다. 본원통화. 전혀 짐작이 안 되니까 빨리 공부해 보자! 본원통화 :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공급하는 현금통화를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본원통화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본원통화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지폐 및 동전 등 화폐발행의 독점적 권한을 통하여 공급한 통화를 말한다. 한 나라의 통화공급은 1차적으로 중앙은행의 창구를 통한 화폐발행에서 비롯된다. 중앙은행은 자금시장동향 및 국내경제사정을 감안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 등으로 화폐를 공급한다. 금융기관에 대한 대출과 금융기관 보유채권의 매입 정부에 대한 대출 또는 정부발행채권의 인수 정부대행기관에 대한 대출 외환시장에서의 외환매입활동 공급된 화폐는 민간의 현금..
-
[경제용어 공부 37] 보호무역주의경제용어공부 2024. 4. 12. 13:37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37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보호무역주의] 다. 보호무역주의 : 자국산업이 국제경쟁력을 갖출 때까지 국가가 국내산업을 보호,육성하면서 무역에 대한 통제를 가하는 정책 [네이버 지식백과] 보호무역주의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보호무역주의는 자국산업이 국제경쟁력을 갖출 때까지 국가가 국내산업을 보호, 육성하면서 무역에 대한 통제를 가하는 정책으로, 나라마다 각국이 특화한 산업에 집중하고 나머지 산업들은 교역으로 해결할 것을 주장하는 자유무역주의와 대비되는 정책이다. 자유무역주의에서는 국가의 개입과 간섭을 배제하고 국가 간의 수요와 공급에 맞춘 자유로운 무역을 추구한다. 보호무역주의 하에서 각국 정부는 자국산업의 보호를 위해 국제무역에 적극적으로..
-
[경제용어 공부 36] 변동금리경제용어공부 2024. 4. 11. 11:47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36일 차! 오늘의 경제용어는 [변동금리] 다. 변동금리. 변동되는 금리 아닐까? 상황에 따라 변하는 금리! 변동금리 : 적용되는 이자율이 가입기간 중에 계속 변하는 것을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고정금리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일반적으로 금리는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로 나눌 수 있다. 고정금리는 상품에 가입한 기간 동안 시중금리가 아무리 큰 폭으로 변하더라도 이자율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정기예금, 정기적금과 같은 예금상품은 대부분 고정금리이며, 채권, CP(기업어음), CD(양도성예금증서), 개발신탁 등도 고정금리를 준다. 이에 반해 변동금리는 적용되는 이자율이 가입기간 중에 계속 변하는 것을 말한다. 변동금리는 대출초기금리가 고..
-
[경제용어 공부 35] 베블런 효과경제용어공부 2024. 4. 10. 21:03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35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베블런 효과]다. 베블런 효과 : 상류층 소비자들이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소비를 하는 결과, 가격이 오르는데도 수요가 줄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 [네이버 지식백과] 베블런효과 [Veblen Effect]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베블런 효과는 상류층 소비자들이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소비를 하는 결과, 가격이 오르는데도 수요가 줄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고급 자동차, 명품 액세서리 등은 경제상황이 악화돼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경향이 있다. 미국학자 베블런(Veblen)이 자신의 저서에서 제시한 데서 유래되었다. 베블런 효과는 사람들이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한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