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경제용어 공부 58] 어음관리계좌 CMA경제용어공부 2024. 5. 6. 23:11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58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어음관리계좌 CMA] 다. CMA는 몇 년전에 생활비를 넣어뒀던 기억이 있다. 잠깐 들고있는 돈도 CMA에 넣어두면 하루하루 이자를 준다고 들었기 때문인데언젠가 해지한 뒤로는 잊고 있었다. 그때는 CMA가 뭔지도 모르고 통장을 만들었는데지금도 뭔지 모르고 있다. 잘 알아보자! ^^ 어음관리계좌 (CMA) :고객이 맡긴 예금을 투자금융회사가 단기국공채나 기업 어음(CP), 양도성예금증서(CD) 등에 투자해서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상품이다.[네이버 지식백과] 어음관리계좌 [어음管理計座, cash management account] (매일경제, 매경닷컴) 어음관리계좌는 고객이 맡긴 예금을 투자금융회사가 단기국공채나 기업 어음(CP..
-
[경제용어 공부 57] 양적완화정책경제용어공부 2024. 5. 5. 12:01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57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 용어는 [양적완화정책] 이다. 양적완화정책. 많이 들어봤는데 시중에 돈을 많이 푼다는 느낌 같은데 정확하게 알아보자.^^ 양적완화정책 (QE)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 부양 효과가 한계에 봉착했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 매입 등을 통해 유동성을 시중에 직접 공급함으로써 신용경색을 해소하고 경기를 부양시키는 통화 정책을 말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양적 완화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양적완화정책은 중앙은행이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해소와 경기 부양을 위해 정부의 국채나 여타 다양한 금융 자산의 매입을 통해 시장에 직접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을 말한다. 양적 완화는 정책 금리가 0에 가까운 초저금리 상태여서 더 이상 금리를 내릴 수도 없..
-
[경제용어 공부 56] 양도성 예금증서경제용어공부 2024. 5. 4. 23:55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56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양도성 예금증서] 다. 양도성 예금증서 (CD) :은행이 발행하고 금융시장에서 자유로운 매매가 가능한 무기명의 정기예금증서[네이버 지식백과] 양도성예금증서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양도성 정기예금증서는 은행의 정기예금에 양도성을 부여한 것으로, 은행이 발행하고 증권회사와 종합금융회사의 중개를 통해 매매된다. 예금통장과는 달리 통장에 이름을 쓰지 않는 무기명이며, 중도해지는 불가능하나 양도가 자유로워 현금화가 용이한 유동성이 높은 상품이다. 때문에 예금자는 이를 만기일 이전이라도 은행 또는 증권회사, 종금사 등에 팔 수 있고 증권사 등은 이렇게 매입한 CD를 일반고객에게 되팔 수 있다. 발행 대상은 제한이 없으며 이자지급식이..
-
[경제용어 공부 55] 애그플레이션경제용어공부 2024. 5. 3. 23:56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55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 용어는 [애그플레이션] 이다. 애그플레이션 :곡물가격이 상승하는 영향으로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네이버 지식백과] 애그플레이션 [agflation]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애그플레이션은 농업을 뜻하는 영어 '애그리컬처(agriculture)'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다.곡물가격이 상승한 영향으로 일반 물가도 덩달아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영국의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잡지는 1845년 이후 식품값의 추이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세계 곡물가격은 오랜 기간 낮은 수준을 지속하였으나 2006년 하반기부터 급등하였고, 2007년에는 세계 식품가격지수가 역대 최고치..
-
[경제용어 공부 54] 실질임금경제용어공부 2024. 5. 1. 11:55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54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 용어는 [실질임금] 이다. 실질임금. 인플레이션 공부할 때 봤었나?물가상승률 등이 반영되지 않은 실제로 받는 임금의 금액인가?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임금인가? 모르겠다. 공부해보자!^^ 실질임금 :물가상승을 고려한 돈의 실질적인 가치로 나타낸 임금.[네이버 지식백과] 실질임금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실질임금은 화폐임금을 소비자물가 또는 생계비 변동지수로 수정한 것이다.'명목임금'은 물가의 상승을 고려하지 않고 그냥 현재의 돈을 기준으로 임금(근로자들이 일한 대가로 받는 돈)을 표시한 것이다. 즉,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화폐액을 말한다. '실질임금'은 명목임금과 대별되는 것으로, 물가상승을 고려한 돈의 실질적인 가치로 나타낸..
-
[경제용어 공부 53] 신주인수권부사채 BW경제용어공부 2024. 4. 30. 23:59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53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신주인수권부사채 BW] 다.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회사의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네이버 지식백과] 신주인수권부사채 [新株引受權附社債, BW ; bond with warrant] (매일경제, 매경닷컴)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일정액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warrant)가 붙은 채권이다. 신주인수권과 회사채가 결합된 것이다. 예컨대 신주인수권부사채 1매당 신주인수권이 2주, 권리행사가격이 액면가 3000원으로 정해졌다고 가정해보자. 이런 신주인수권부사채 10매를 갖고 있는 주주는 기업이 증자를 할 때 발행 물량이나 시가와 무관하게 신주 20주를 주당 3000원에 인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주가가 약정된 매입가를 ..
-
[경제용어 공부 52] 신용경색경제용어공부 2024. 4. 29. 14:06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52일 차.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신용경색] 이다. 신용경색.심근경색처럼 신용이 막힌다는 걸까? 공부해보자! 신용경색 :금융기관에서 돈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현상. [네이버 지식백과] 신용경색 [信用梗塞, Credit Crunch] (매일경제, 매경닷컴) 신용경색은 금융기관에서 돈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말한다.신용경색 현상이 발생하면 기업들은 자금 부족으로 인해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워지고 무역업체들도 수출입 활동에 큰 제약을 받게 된다.신용경색은 금융시장에 공급된 자금의 절대량이 적거나 자금의 통로가 막혀있을 때 발생한다.특히 돈의 통로가 막혀 발생하는 신용경색은 치유하기가 어렵다.이는 금융시장 존립근거인 ‘신용의 ..
-
[경제용어 공부 51] 시뇨리지경제용어공부 2024. 4. 28. 21:18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51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시뇨리지] 다. 시뇨리지 :중앙은행이 발행한 화폐의 실질가치에서 발행비용을 제한 차익을 의미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시뇨리지 [seigniorage]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시뇨리지는 중앙은행이 발행한 화폐의 실질가치에서 발행비용을 제한 차익을 의미한다.화폐의 액면가에서 화폐 제조비용과 유통비용을 뺀 차익으로, 중앙은행이 갖는 독점적 발권력에 의해 발생한다. 정부의 재원이 되는 시뇨리지의 연간 총액은 ‘유통통화량×시장이자율-(제조비용+유통비용)’으로 계산하지만 쉽게 설명하기 위해 제작비용만 따져 예를 들면 1만 원 권의 경우 종이·잉크 등의 재료비와 인쇄비용이 1천 원이라 할 때 시뇨리지는 9천 원에 이른다. 즉, 중앙은행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