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경제용어 공부 81] 증거금경제용어공부 2024. 6. 7. 11:12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81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증거금] 이다. 증거금 :주식 또는 파생상품거래에서 결제를 이행하기 위한 보증금을 말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증거금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증거금은 주식 또는 파생상품거래에서 결제를 이행하기 위한 보증금을 말한다. 주식의 증거금은 현재 40%이다. 하지만 증거금이 자주 사용되는 거래는 파생상품에서이다. 파생상품(선물 · 옵션) 거래는 대부분 5%~15%내외의 증거금으로 매매를 할수 있는데 손실위험이 크므로 결제이행을 위한 담보 장치가 필요하다. 즉, 선물거래의 경우 계약시점과 결제시점간의 간격이 장기간이므로 가격변동이 클 수가 있다. 그래서 미결제약정을 갖고 있는 투자자로 하여금 선물가격이 손해가 될 경..
-
[경제용어 공부 80] 중앙은행경제용어공부 2024. 6. 6. 10:52
지금부터 부자되기 프로젝트 80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중앙은행] 이다. 중앙은행 :나라의 금융제도의 중심적인 기관으로서 특별법에 기초하여 설립된 은행.[네이버 지식백과] 중앙은행 [中央銀行, central bank] (매일경제, 매경닷컴) 중앙은행은 1국의 금융제도의 중심적인 기관으로서 특별법에 기초하여 설립된 은행이다.미국의 연방준비제도(FRB), 영국의 잉글랜드은행, 서독의 연방은행, 프랑스의 프랑스은행, 한국의 한국은행 등이 그것이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 발권은행 : 1국의 법정통화인 은행권을 발행하는 독점권을 가진다. 은행의 은행 : 상업은행에 대한 어음의 재할인이나 담보 대출을 통하여 자금을 공급하여 자금의 최후공급자(lender of last resort)로서의 역할..
-
[경제용어 공부 79] 주당순이익 EPS경제용어공부 2024. 6. 5. 22:23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79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주당순이익]이다. 주당순이익 (EPS)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느냐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주당순이익(EPS) (시사상식사전, pmg지식엔진연구소) 주당순이익(EPS)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느냐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해당 회사가 1년간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다. 또한 주당순이익은 주가수익비율(PER)계산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EPS가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 가치는 높다고 볼 수 있으며, 그만큼 해당 회사의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이다. 따라서 배..
-
[경제용어 공부 78] 조세부담률경제용어공부 2024. 6. 4. 20:56
지금부터 부자되기 프로젝트 78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조세부담률] 이다. 조세부담률 :한 나라의 국민총생산 또는 국민소득에 대한 조세총액의 비율.[네이버 지식백과] 조세부담률 [ratio amount of taxes, 租稅負擔率]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조세부담률은 국민들이 소득 중에서 얼마만큼을 세금으로 부담하느냐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법인을 포함한 국민들이 1년 동안 낸 세금총액을 국민총생산(GNP)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조세부담률=(조세총액÷GNP)×100 한국에서는 국민총생산에 대한 비율을 택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국민소득에 대한 비율로 표시하는 예가 많다. 국민소득, 즉 1년 간 국민이 새로 생산한 순생산물에서 얼마나 조세로서 국가에 분할되는가를 나타내며, 한 나라 ..
-
[경제용어 공부 77] 주가지수경제용어공부 2024. 6. 2. 21:02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77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주가지수] 다. 주가지수 :주식가격의 전반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는 코스피와 코스닥이다.출처 : 경제금융용어 700선(2023), 한국은행 주가지수는 주식가격의 전반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주식시장에서는 매일 수많은 종목이 거래되는데, 이러한 각 개별종목의 가격변동을 종합하여 주식가격의 전반적인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지수가 주가지수이다. 주가지수는 기준시점의 시장전체 주가수준과 비교시점의 시장전체 주가수준을 비교하여 산출되는데, 그 방식에는 주가평균식과 시가총액 가중식이 있다. 주가평균식은 대상 종목의 주가를 단순 합산하여 종목수로 나누는 방식인데, 미국의 다우존스 산업평균과 일..
-
[경제용어 공부 76] 주가수익률 PER경제용어공부 2024. 6. 1. 20:06
지금부터 부자 되기 프로젝트 76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주가수익률] 이다. 주가수익률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를 한 주당 당기순이익으로 나누어 주가가 한 주당 순이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네이버 지식백과] 주가수익률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주가수익률은 주가를 한 주당 당기순이익으로 나누어 주가가 한 주당 순이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한 주당 순이익은 당해연도에 발생한 순이익을 총발행주식수로 나눈 것으로 한 주가 1년 동안 벌어들인 수익이다. 주가수익률(PER; price earning ratio)의 비율이 크면 기업의 이익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고, 비율이 작으면 주가가 이익에 비해서 낮다. ..
-
[경제용어 공부 75] 제로금리정책경제용어공부 2024. 5. 30. 21:14
지금부터 부자되기 프로젝트 75일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제로금리정책] 이다. 제로금리정책 : 단기금리를 0%에 가까운 수준으로 떨어뜨리는 통화정책출처 : 경제금융용어 700선(2023), 한국은행 제로금리정책은 금융기관 간에 여유자금과 부족자금을 빌리는 단기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초단기 자금의 금리(한국과 일본의 콜금리, 미국의 페더럴펀드금리 등)를 0%에 가까운 수준으로 떨어뜨리는 통화정책을 말한다. 중앙은행이 단기금리를 제로 근처로 유도하는 것은 시중 유동성을 풍부하게 하여 금융경색을 억제하고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목적이다. 일본의 경우 1999년 초 일본은행이 경기활성화를 위해 콜금리를 0.02%까지 떨어뜨리며 제로금리정책을 펼쳤으나 당초 기대만큼 소비나 투자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
-
[경제용어 공부 74] 정크본드경제용어공부 2024. 5. 29. 17:45
지금부터 부자되기 프로젝트 74일 차. 오늘 공부할 경제용어는 [정크본드] 다. 정크본드 :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고위험·고수익 채권. [네이버 지식백과] 정크본드 [junk bond]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정크본드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신용등급이 아주 낮아 회사채 발행이 불가능한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로 ‘고수익채권’ 또는 ‘열등채’라고도 부른다. 신용도가 낮은 회사가 발행한 채권으로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불이행 위험이 큰 만큼 이자가 높기 때문에 중요한 투자 대상이 된다. 1970년대 미국 정크본드 시장의 대부로 불렸던 마이클 밀켄이 하위등급 채권을 정크라고 부른 데서 유래되었으며, 당시에는 신용도가 높은 우량기업이 발행한 채권 중 발행기업의 경영이 악화되어 가치가 떨어진 채권을..